쓰레기섬, 플라스틱 섬은 실제로 존재합니다! (ft. GPGP)

728x170

혹시 하루에 플라스틱을 얼마나 사용하는지 그리고 얼마나 많은 양을 버리는 지 생각 해보셨나요?

평상 시 우리가 사용하고 버린 플라스틱은 쓰레기가 되어 땅속이 아닌 맑은 바다에서 떠돌아 다니고 있습니다. 미국 캘리포니아에 사는 찰스 무어 선장은 1997년 하와이 인근 태평양에서 ‘플라스틱 아일랜드’를 발견했는데 그 크기를 확인해보니 넓이가 무려 160만㎢로 남한의 16배에 이를 정도이고 8만t의 쓰레기가 1조8000억 조각으로 나뉜 채 떠다니고 있는 것입니다.

 

‘태평양 대 쓰레기장(Great Pacific Garbage Patch, GPGP)’이란 이름이 붙은 엄청난 규모의 플라스틱 쓰레기 섬.

 

 

유엔 환경계획(UNEP) 등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1950년대 이후 83억t의 플라스틱이 생산됐고, 이 중 50억t은 매립장으로 가거나 바다로 배출되었으며 현재도 전 세계에서 매년 3억t의 플라스틱 제품이 생산되고, 이 중 1000만t이 바다로 들어가는 중이라고 합니다.

 

그로 인해서 지구의 대양에는 GPGP를 포함해 5개의 거대한 쓰레기 섬이 탄생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주변국은 쓰레기 처리의 부담으로 인해 이 사실을 회피를 하면서 쓰레기 섬은 이따금 환경과 관련한 이슈가 있을 때만 반짝 소비되며 다시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잊혀지기를 반복합니다.

 

그런데 어느 날 세계 해양의 날을 맞아 플라스틱 오션 재단과 온라인 미디어 기업 라드 바이블(LAD Bible)이 협력해 유엔(UN) 기구에 ‘GPGP’를 정식 국가로 인정하기를 요청했습니다.

 


플라스틱과 각종 쓰레기로 인해 만들어진 냄새나고 보기에도 구역질 나는 쓰레기 섬을 하나의 국가로 인정해달라고 하면 그 어느 누가 제 정신이라고 하겠습니까? 그러나 여기에 타탕한 이유가 있었습니다.

 

정식 국가로 승인이 되면 유엔법에 따라 주변국이 청소해야 할 의무가 생기기 때문입니다. 유엔 측은 이를 매우 혁신적이고 창의적으로 관심을 유도했다고 평가하며 쓰레기 섬을 정식 국가로 임명했습니다.

하나의 정식 국가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명확한 국경’, ‘인구’, ‘정부 수립’, ‘네트워크’와 같은 네 가지 조건이 필요한데, 쓰레기 섬은 일본과 하와이섬 사이 명확한 위치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또한 온라인으로 국민을 모집해 첫 몇 주간 이미 몇몇 나라의 국민 수를 초월했고 첫 시민을 자처한 미국의 전 부통령인 앨 고어(Al Gore)를 포함해 많은 유명인이 이 섬의 시민이 되겠다고 밝혔으며, 끝내 총 20만 명 이상의 시민이 모집되었습니다.

 

그리고 정부 수립을 위해 정식 직책을 임명했는데 영화 007의 배우 주디 덴치(Judi Dench)가 이 나라의 여왕, 프로 레슬러 존 시나(John Cena)는 국방부 장관을 맡기도 했습니다.

 

쓰레기로 이루어진 섬이지만 분명 하나의 나라입니다. 그래서 여권, 화폐, 우표는 물론이고 국기까지 있습니다. 이 모든 것이 쓰레기에서 나온 아이디어로 만들어진 것입니다.

위에서 설명했지만 이 쓰레기 섬의 크기는 대한민국의 16배에 달하는데 충격적인 사실은 이 쓰레기 섬의 쓰레기를 확인해보니 1/3은 중국, 1/3은 일본의 쓰레기로 판명되었습니다.

사람들이 사용하고 버린 플라스틱 폐기물, 재활용 폐기물들은 다시 우리에게 돌아오게 마련입니다. 우리의 미래세대는 부디 이런 쓰레기로 이루어진 환경에서 살아가지 않기를 바래봅니다.

728x90
그리드형(광고전용)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