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들의 일자리와 건강을 보장해주는 '자원관리사' (feat.폐지수거)

728x170

코로나19의 장기화 여파로 폐지를 활용한 제지회사 제품들이 수출이 막혀 폐지가격 하락이 지속되었습니다. 이로인해  폐지를 수집해서 고물상에 판매해 생계를 이어가는 열악한 환경의 폐지수집 어르신들은 가득이나 힘든데 더욱 팍팍하고 힘든 삶을 이어 가고 있습니다.

약 2년 전인 2018년 중국이 폐지를 비롯한 24개의 재활용 폐기물의 수입을 중단하자 국내 폐지 가격이 하락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올해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제지 수출길이 막히면서 폐지 가격도 반토막으로 폭락하기 시작했던 것입니다. 

중국이 수입을 중단하기 전인 2017년도에는 폐지 1kg당 가격은 150원을 웃돌았지만, 수입 중단 직후 2018년에는 80원으로 하락했고 현재는 절반인 40원까지 떨어졌습니다. 이 피해는 오롯이 폐지를 줍는 노인들에게 돌아갔습니다. 그에 반면 골판지 업체는 코로나19로 인한 택배 박스 수요가 늘어 원재료인 폐지 가격 하락의 혜택을 봤습니다. 

그러나 재활용산업의 막바지에 있는 노인들은 가격 하락의 혜택을 전혀 누리지 못하고 있는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재활용품 수거업체의 한  관계자의 말에 의하면 폐지수거가 비단 환경문제만이 아니라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는데요.

"제지 공장에서는 폐지가 모자란다고 난리"라며 "폐지 가격이 계속해서 하락하다 보니 폐지를 가져오는 노인이 작년에 비해 50% 줄었다고 전했습니다. 그래서 폐지의 재활용률도 높이고 노인들의 생계수단도 보장해주려면 폐지 가격 안정화가 절실히 필요하다"라고 밝혔습니다.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이 보건복지부에 제출한 ‘폐지수집 노인실태에 관한 기초 연구’ 자료(2017년 주민등록인구 기준)에 따르면 만 65세이상 노인 중 약 6만6천명이 폐지를 줍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이를 좀 더 세밀하게 살펴본다면 전체 노인의 0.9%, 일하는 노인의 2.9%로 우리나라 노인 100명 중 1명은 생계를 위해 폐지를 줍는 것입니다.

그런데 폐지수집으로 얻는 수입은 시간당 2천200원, 월 평균수입은 약 20만 원, 생계를 유지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금액이지만,  고령의 노인들은 일자리가 없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폐지를 줍는 현장으로 내몰리고 있는 것이죠.

 


 
위와같은 문제를 해결하려고 그동안 많은 곳에서 머리를 맞대고 노력을 하고 있었습니다.

마침내, 서울 시에서는 폐지 줍는 노인들을 자원관리사로 선정해 폐지 1kg 당 시중 가격 평균보다 높은 70원을 적정가격으로 책정하고 그 차액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자원관리사는 환경개선 뿐만 아니라 폐지 줍는 노인들의 최저 생계를 보장해 준다는 점에서 호평을 받고 있습니다.

더구나 자원관리사가 더욱 호평을 받고 있는 것은 동주민센터를 통해 노인들 나이와 건강상태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개별 맞춤형 역할을 부여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서울 시에서는 자원관리사가 한참 진행 중이지만 아직 지방단치자체에서는 노인을 위한 자원관리사가 시행되지 않은 곳이 있습니다. 하지만 앞으로 폐품 재활용을 하면서 자원관리도 되고 노인들의 기본적인 생계지원까지 되는 자원관리사는 계속 확대될 것입니다.

자원관리사에 대한 문의는 거주지 동주민센터나 시의 관할 부서에 문의하시면 됩니다.

728x90
그리드형(광고전용)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