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무원이 시키는대로 하지 않으면 도리어 '사망조끼'가 된다는 '구명조끼'

728x170

사람의 생명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없습니다.
그래서 생명을 지키기 위한 안전은 우리 일상생활은 물론이고 건설현장과 비행기 안에서도 항상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자신을 지키기 위한 안전은 나름대로 규칙이 있습니다. 예를 들자면 건설현장에서는 안전모와 안전화를 항상 착용해야 하며 빙판길에서는 손을 주머니에 넣고 다니지 않는 행위들입니다.

 


마찬가지로 비행기 안에서는 이륙하기 전,
우리는 항상 그것도 너무 자주 비행기가 바다 위에 비상착륙 시 사용하는 구명조끼의 사용법에 대해 봅니다. 평상 시 아무 생각없이 보면 사용법도 간단하고 설마 구명조끼를 사용할 일이 생길까 하는 생각에 대수롭지 않게 넘겨버립니다.

하지만 이런 구명조끼 사용법에 대해 승무원이 하는 동작과 언제 사용하는지 정확히 인지 하셔야 합니다.

 


1996년 11월 23일, 아디스아바바를 출발해 케냐 나이로비로 비행 중이던 에티오피아항공 961편이 갑자기 납치범 3명에게 폭탄 위협을 받으며 공중에서 납치를 당했습니다. 비행기 기장은 납치범들의 요구를 응하는 척 하다가 연료를 바닥내고 인근 공항에 착륙을 할 계획이었습니다.

 


그런데 이것을 눈치 챈 납치범들과 비행기 내부에서 격투가 벌어지면서 어쩔 수 없이 해변에 비상착륙을 하게 됩니다. 비행기는 하늘에서 날아오는 비행속도를 버티지 못하고 바닷물에 부딪히자 마자 날개는 물론이고 동체까지 파손되면서 물 속으로 가라앉기 시작했습니다.

그나마 다행인것은 비행기가 떨어진 인근은 휴양지라 목격한 사람들이 많아서 구조가 빠르게 진행이 되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그것은 우리의 예상과는 많이 달랐습니다.

 


승객과 승무원을 합해서 175명이었으나 사망자는 무려 125명이었습니다. 주위에는 승객들을 구조할 여러가지 좋은 조건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구 대부분의 승객들이 사망한 것입니다.

나중에 이렇게 많은 수의 승객이 사망한 원인을 알아내보니 그것은 우습게도 탈출 장비인 '구명조끼'가 원인이었습니다.

비행기가 바다위에 착륙할 때만 해도 많은 수의 승객이 살아 있었고 바닷물이 밀려오자 구명조끼를 착용합니다. 하지만 좁은 기내 공간안에서 바닷물이 인정사정 없이 밀려오자 승객들은 패닉상태로 됩니다.

 

패닉상태의 승객들은 승무원이 하지말라는 구명조끼의 핀을 뽑아 부풀리게 합니다. 이 행동이 많은 수의 사상자가 나온 원인이었습니다. 좁디 좁은 기내 안에서 그것도 바닷물이 밀려오는 상황에서 부풀려진 구명조끼 때문에 승객들은 자유롭게 움직일 수가 없게 된 것입니다.

주변에 승객들을 구조할 사람들과 장비는 많았지만 생명을 위한 안전 장비인 '구명조끼'가 도리어 '사망조끼'가 된 것입니다.

 

비행기 내부에서 화재가 일어나 많은 수의 사상자를 낸 사건이 있었습니다. 이때도 충분한 탈출 시간이 있었으나 승무원의 지시를 듣지 않아 본인의 소지품을 챙겨 탈출하려고 하면서 뒤에 뒤따라오던 승객들이 탈출을 못했습니다.

 

승무원들의 역할은 승객들에게 음료수나 식사를 제공하는 것이 주업무가 아닙니다. 승객들의 생명을 구하는 것이 주업무입니다. 이들은 비행기에 탑승하기 전에 수 많은 시간을 여러가지 위험한 상황에서 승객을 구할 수 있는 훈련을 받았습니다.

 

그래서 만약 항공기에서 사고가 발생할 시 승무원의 지시는 무조건, 반드시, 기필코, 꼭 따라야 합니다. 그렇게 해야만 위급한 순간에 신속하고 빠르게 당신을 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728x90
그리드형(광고전용)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